Wednesday, October 8, 2025

From Apple Tree Stickers to "I Love This Work": The Power of Intrinsic Motivation(사과나무 스티커)

One of the clearest memories of my childhood is of attending kindergarten. On the classroom walls, there was a large poster labeled the "Dream Tree," featuring a tree with plump, round apples. The teachers would give my friends and me a sticker whenever they felt we had done something well, instructing us to place it on an apple on the poster with our name on it.

Back then, every night when I went to sleep, I would dream of my apple tree being completely filled with stickers.

I believe that was a time when the immediate feedback and reward system of the behaviorist B.F. Skinner was applied to learning.

These days, the stories I find most compelling come from neuroscientists who reveal that when we practice "gratitude,"the positive areas of the brain expand, increasingly influencing our behavior. Another is the Self-Determination Theory (SDT) by Edward Deci and Richard Ryan, an idea that focuses on finding joy and meaning in the action itself.

Unable to suppress my curiosity, I always feel the need to run an experiment.

My personal application involves a simple practice: the moment I'm engaged in the most tedious task, I utter, "I am a person who truly loves this work."-Self-Determination Theory, SDT- I know there's a huge difference between simply thinking it and saying it out loud, so I always speak it, loud enough for myself to hear.

And, strangely, from that very moment, the boredom vanishes. Instead, a feeling swells up inside me—a sense that I truly am a person who enjoys doing this work. "Oh! This actually works!"

The basic routine conversation I have with my patients involves checking on the three areas categorized in traditional Korean medicine: Upper Jiao (상초), which concerns sleeping well; Middle Jiao (중초), covering appetite and digestion; and Lower Jiao (하초), dealing with excretion and essence (Jing)—which connects to the brain, marrow, bones, vessels, gallbladder, uterus, and seminal vesicle—essentially, a confirmation of biological metabolic activity.

I listen very carefully to the stories about sleep (Upper Jiao) because they are so deeply linked to a person's unconscious mind, which I find truly fascinating.

According to David Eagleman, the author of Incognito: The Secret Lives of the Brain, dreams appear to be stories created by interpreting the storm-like electrical activity that happens in the brain at night. Neural signals released from the midbrain reproduce the realizations and feelings derived from things the unconscious encountered during the day—people briefly glimpsed while riding an escalator in a mall, the thrill felt looking up at a tall building, the accidental view inside a car while driving... These things are truly happening in the unconscious brain.

In traditional Korean medicine, dreaming frequently means that a person has not achieved deep sleep and is having difficulty resetting the day at night. It’s believed that the human spirit (Shen) wanders in dreams; this spirit resides in the blood, and the heart is the home of that blood. If the blood cannot settle in the heart during sleep, the spirit within the blood also wanders. Consequently, people who remember many vivid dreams often don't wake up feeling refreshed and start their day burdened by complex, interconnected thoughts.

Scientists have revealed that the brain is divided into functional areas, and it is beneficial to focus on expanding the positive regions.

Traditional Korean medicine has a Constitutional Theory which suggests some people are simply born a certain way. However, my clinical experience has taught me that even if one is born a certain way... nevertheless—my favorite phrase—as the theory of Epigenetics suggests, people change, influenced by climate and environment.

Research shows that a short daily meditation combined with breathing, and sipping water little by little help expand the positive areas of the brain. When the positive area expands, it naturally follows that the negative area shrinks(Neuroplasticity Theory).

The hardest thing to do in life seems to be acceptance: accepting myself as I am, and accepting others as they are. When that fails, it feels like anger, depression, and loneliness bubble up every day.

Cleaning the house, tidying up, doing things that make me happy... these are all good, but finding even a brief moment each day for peaceful time to reset myself is essential.



어릴때 제일 선명하게 생각나는 기억중에 하나를 꼽자면 유치원을 다닐 때였던것 같다. 유치원 벽에는 꿈나무라고 크게 쓰여지고 동그란 사과나무열매가 탐스럽게 열린 나무 포스터들이 붙어있었다. 선생님들은 나랑 친구들이 뭔가를 잘했다고 생각할때마다 스티커를 하나씩 주면서 내이름이 써진 포스터의 사과에 붙이라고 했다. 그때는 매일밤 잘 때마다 내 사과나무의 열매들이 스티커로 꽉 채워지는 꿈을 꾸었었다.

행동주의 학자인 스키너의 즉각적 피드백을 주는 보상을 학습에 적용했던 때였던것 같다.

요즘에 나오는 제일 설득력있게 느껴지는 이야기들은 뇌과학자들이 밝혀내고 있는  "감사"하면 좋은 뇌의 영역이 확장되어 점점더 행동에 영향력있게 반영된다는 이야기와 행동 자체에 즐거움과 의미를 느끼게 하는 이론인 에드위드 데시와 리쟈드 라이언의 자기결정 이론이다.

호기심을 못참는 나는 항상 그렇듯이 실험을 꼭 해봐야한다는..

내가 일상에서 적용했던 방법은 제일 지루한 일을 하는 순간에  "나는 이일을 정말 좋아하는 사람이야" 내뱉는거다(자기결정 이론 Self-Determination Theory, SDT). 생각과 소리를 내는건 엄청난 차이가 있다는걸 알고 있어서 항상 말로 한다. 내가 듣을수 있게.

그런데

신기하게도 그순간부터는 그 지루함이 사라져버리고 나는 진짜 이 일을 즐겨서 하는 사람이라는 느낌이 차오른다. " 오! 이게 되네!"

환자들과 루틴으로 하는 기본적인 대화는 -한의학에서 구분하는 상초중초하초에 관한 세가지내용인데 상초는 잠은 잘 자는가, 중초는 식욕과 소화, 하초는 배설과 에센스(정)-뇌수골맥담여자포 연결되어진다- 생물학적인 대사활동의 확인이다. 

상초의 잠에 관한 이야기는 정말 귀기울여 듣는데 그사람의 무의식과 많이 연결되어 있어서 많이 흥미롭다.

무의식은 어떻게 나를 설계하는가(Incognito)의 저자인 데이비드 이글먼에 의하면 꿈은 밤에 뇌에서 일어나는 폭풍처럼 일어나는 전기활동을 해석해서 만들어진 이야기인듯 하다고 한다. 중뇌에서 방출된 신경신호들이 낮에 일어났던 무의식이 접했던 것들이, 낮에 쇼핑몰의 에스컬레이터를 타고 올라가다가 스치듯 본 사람들, 높은 건물을 올려다보며 했던 짜릿한 생각, 운전하다가 우연히 보게된 차안의 모습들...이런것들의 깨달음과 느낌을 재현해내는- 뇌의 무의식에서는 진짜로 이런일들이 일어나고 있다.

한의학에서는 꿈을 많이 꾸는건 숙면을 취하지 못한거고 밤에 그 하루를 다시 리셋하는데 어려움이 있다고 한다.꿈은 사람의 영혼이 돌아다니는 건데 그 영혼은 사람의 피 속에 들어있고 심장은 그 피의 집이다. 사람이 잠을 잘때 피가 심장에 머물지 못하면 피속에 있는 영혼도 같이 떠돌게 된다고 한다.

그래서 선명하게 기억나는 꿈을 많이 꾸는 사람들은 아침에 일어나도 개운하지 않고 연결되는 복잡한 생각으로 하루를 다시 시작하게 된다.


과학자들이 밝혀낸 바로는 뇌는 영역으로 나뉘어져 있어서 긍정의 영역을 많이 확장하는게 좋다고 한다.

한의학에서는 체질론이 있어서 태어나길 그렇게 태어난사람도 있다고 한다 그러나 내가 임상에서 느낀건 태어나길 그렇게 태어났을 지라도.. 그럼에도 불구하고-내가 제일 좋아하는 말- 후생학 이론에서 말하듯이 사람은 기후와 환경의 영향으로 바.뀐.다.

연구결과를 보면 숨쉬기와 같이하는 하루의 짧은 명상 그리고 조금조금씩 물 마시는 건 뇌의 긍정적인 영역을 확장시키는데 도움이 된다-신경가소성(Neuroplasticity)의 원리-고 한다. 긍정적인 영역을 확장시키면 당연하겠지만 부정적인 영역은 줄어든다. 

살면서 제일 안되는게 인정하기다. 나를 그대로 인정해주고 남을 또 그대로 인정해주고.

그게 안되서 매일매일 화나고 우울하고 외롭다는 생각이 드는것 같다.

집청소, 정리하기, 나 행복하게 해주는 거.. 다 좋지만 하루에 잠깐이라도 나를 리셋할 수 있는 평화로운 시간이 좋다.

No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