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nday, October 13, 2025

A can of Cola(콜라 한캔)

 A 350 mL can of Coca-Cola contains about 39 grams of high-fructose corn syrup—half glucose and half fructose.


When a patient walks in holding a can of Diet Coke in one hand and their recent blood test results in the other, my eyes instinctively scan for their glucose level and the telltale signs of insulin resistance. It reminds me of a previous patient whose years of metabolic syndrome eventually led to Alzheimer’s disease—and how I treated them by stimulating the Spleen and Liver meridians with acupuncture.



350mL 코카콜라 캔에는 고과당 옥수수 시럽이 39그램 들어있고 이 시럽의 절반은 포도당이고 나머지 절반은 과당이다. 

환자가 한손에는 다이어트 콕을 들고 다른 한손에는 자신의 최근 혈액검사지를 나에게 내밀면 제일먼저 글루코즈 수치와 그에 따라 올라가는 인슐린 저항성을 눈으로 스캔하며 바로 이전 환자가 수십년간 앓고 있었던 메타볼릭 신드롬(Metsyn)으로 온 알츠하이머를 치료할때 비위의 경락과 간경에 침을 놓은 생각을 떠올린다.


Wednesday, October 8, 2025

From Apple Tree Stickers to "I Love This Work": The Power of Intrinsic Motivation(사과나무 스티커)

One of the clearest memories of my childhood is of attending kindergarten. On the classroom walls, there was a large poster labeled the "Dream Tree," featuring a tree with plump, round apples. The teachers would give my friends and me a sticker whenever they felt we had done something well, instructing us to place it on an apple on the poster with our name on it.

Back then, every night when I went to sleep, I would dream of my apple tree being completely filled with stickers.

I believe that was a time when the immediate feedback and reward system of the behaviorist B.F. Skinner was applied to learning.

These days, the stories I find most compelling come from neuroscientists who reveal that when we practice "gratitude,"the positive areas of the brain expand, increasingly influencing our behavior. Another is the Self-Determination Theory (SDT) by Edward Deci and Richard Ryan, an idea that focuses on finding joy and meaning in the action itself.

Unable to suppress my curiosity, I always feel the need to run an experiment.

My personal application involves a simple practice: the moment I'm engaged in the most tedious task, I utter, "I am a person who truly loves this work."-Self-Determination Theory, SDT- I know there's a huge difference between simply thinking it and saying it out loud, so I always speak it, loud enough for myself to hear.

And, strangely, from that very moment, the boredom vanishes. Instead, a feeling swells up inside me—a sense that I truly am a person who enjoys doing this work. "Oh! This actually works!"

The basic routine conversation I have with my patients involves checking on the three areas categorized in traditional Korean medicine: Upper Jiao (상초), which concerns sleeping well; Middle Jiao (중초), covering appetite and digestion; and Lower Jiao (하초), dealing with excretion and essence (Jing)—which connects to the brain, marrow, bones, vessels, gallbladder, uterus, and seminal vesicle—essentially, a confirmation of biological metabolic activity.

I listen very carefully to the stories about sleep (Upper Jiao) because they are so deeply linked to a person's unconscious mind, which I find truly fascinating.

According to David Eagleman, the author of Incognito: The Secret Lives of the Brain, dreams appear to be stories created by interpreting the storm-like electrical activity that happens in the brain at night. Neural signals released from the midbrain reproduce the realizations and feelings derived from things the unconscious encountered during the day—people briefly glimpsed while riding an escalator in a mall, the thrill felt looking up at a tall building, the accidental view inside a car while driving... These things are truly happening in the unconscious brain.

In traditional Korean medicine, dreaming frequently means that a person has not achieved deep sleep and is having difficulty resetting the day at night. It’s believed that the human spirit (Shen) wanders in dreams; this spirit resides in the blood, and the heart is the home of that blood. If the blood cannot settle in the heart during sleep, the spirit within the blood also wanders. Consequently, people who remember many vivid dreams often don't wake up feeling refreshed and start their day burdened by complex, interconnected thoughts.

Scientists have revealed that the brain is divided into functional areas, and it is beneficial to focus on expanding the positive regions.

Traditional Korean medicine has a Constitutional Theory which suggests some people are simply born a certain way. However, my clinical experience has taught me that even if one is born a certain way... nevertheless—my favorite phrase—as the theory of Epigenetics suggests, people change, influenced by climate and environment.

Research shows that a short daily meditation combined with breathing, and sipping water little by little help expand the positive areas of the brain. When the positive area expands, it naturally follows that the negative area shrinks(Neuroplasticity Theory).

The hardest thing to do in life seems to be acceptance: accepting myself as I am, and accepting others as they are. When that fails, it feels like anger, depression, and loneliness bubble up every day.

Cleaning the house, tidying up, doing things that make me happy... these are all good, but finding even a brief moment each day for peaceful time to reset myself is essential.



어릴때 제일 선명하게 생각나는 기억중에 하나를 꼽자면 유치원을 다닐 때였던것 같다. 유치원 벽에는 꿈나무라고 크게 쓰여지고 동그란 사과나무열매가 탐스럽게 열린 나무 포스터들이 붙어있었다. 선생님들은 나랑 친구들이 뭔가를 잘했다고 생각할때마다 스티커를 하나씩 주면서 내이름이 써진 포스터의 사과에 붙이라고 했다. 그때는 매일밤 잘 때마다 내 사과나무의 열매들이 스티커로 꽉 채워지는 꿈을 꾸었었다.

행동주의 학자인 스키너의 즉각적 피드백을 주는 보상을 학습에 적용했던 때였던것 같다.

요즘에 나오는 제일 설득력있게 느껴지는 이야기들은 뇌과학자들이 밝혀내고 있는  "감사"하면 좋은 뇌의 영역이 확장되어 점점더 행동에 영향력있게 반영된다는 이야기와 행동 자체에 즐거움과 의미를 느끼게 하는 이론인 에드위드 데시와 리쟈드 라이언의 자기결정 이론이다.

호기심을 못참는 나는 항상 그렇듯이 실험을 꼭 해봐야한다는..

내가 일상에서 적용했던 방법은 제일 지루한 일을 하는 순간에  "나는 이일을 정말 좋아하는 사람이야" 내뱉는거다(자기결정 이론 Self-Determination Theory, SDT). 생각과 소리를 내는건 엄청난 차이가 있다는걸 알고 있어서 항상 말로 한다. 내가 듣을수 있게.

그런데

신기하게도 그순간부터는 그 지루함이 사라져버리고 나는 진짜 이 일을 즐겨서 하는 사람이라는 느낌이 차오른다. " 오! 이게 되네!"

환자들과 루틴으로 하는 기본적인 대화는 -한의학에서 구분하는 상초중초하초에 관한 세가지내용인데 상초는 잠은 잘 자는가, 중초는 식욕과 소화, 하초는 배설과 에센스(정)-뇌수골맥담여자포 연결되어진다- 생물학적인 대사활동의 확인이다. 

상초의 잠에 관한 이야기는 정말 귀기울여 듣는데 그사람의 무의식과 많이 연결되어 있어서 많이 흥미롭다.

무의식은 어떻게 나를 설계하는가(Incognito)의 저자인 데이비드 이글먼에 의하면 꿈은 밤에 뇌에서 일어나는 폭풍처럼 일어나는 전기활동을 해석해서 만들어진 이야기인듯 하다고 한다. 중뇌에서 방출된 신경신호들이 낮에 일어났던 무의식이 접했던 것들이, 낮에 쇼핑몰의 에스컬레이터를 타고 올라가다가 스치듯 본 사람들, 높은 건물을 올려다보며 했던 짜릿한 생각, 운전하다가 우연히 보게된 차안의 모습들...이런것들의 깨달음과 느낌을 재현해내는- 뇌의 무의식에서는 진짜로 이런일들이 일어나고 있다.

한의학에서는 꿈을 많이 꾸는건 숙면을 취하지 못한거고 밤에 그 하루를 다시 리셋하는데 어려움이 있다고 한다.꿈은 사람의 영혼이 돌아다니는 건데 그 영혼은 사람의 피 속에 들어있고 심장은 그 피의 집이다. 사람이 잠을 잘때 피가 심장에 머물지 못하면 피속에 있는 영혼도 같이 떠돌게 된다고 한다.

그래서 선명하게 기억나는 꿈을 많이 꾸는 사람들은 아침에 일어나도 개운하지 않고 연결되는 복잡한 생각으로 하루를 다시 시작하게 된다.


과학자들이 밝혀낸 바로는 뇌는 영역으로 나뉘어져 있어서 긍정의 영역을 많이 확장하는게 좋다고 한다.

한의학에서는 체질론이 있어서 태어나길 그렇게 태어난사람도 있다고 한다 그러나 내가 임상에서 느낀건 태어나길 그렇게 태어났을 지라도.. 그럼에도 불구하고-내가 제일 좋아하는 말- 후생학 이론에서 말하듯이 사람은 기후와 환경의 영향으로 바.뀐.다.

연구결과를 보면 숨쉬기와 같이하는 하루의 짧은 명상 그리고 조금조금씩 물 마시는 건 뇌의 긍정적인 영역을 확장시키는데 도움이 된다-신경가소성(Neuroplasticity)의 원리-고 한다. 긍정적인 영역을 확장시키면 당연하겠지만 부정적인 영역은 줄어든다. 

살면서 제일 안되는게 인정하기다. 나를 그대로 인정해주고 남을 또 그대로 인정해주고.

그게 안되서 매일매일 화나고 우울하고 외롭다는 생각이 드는것 같다.

집청소, 정리하기, 나 행복하게 해주는 거.. 다 좋지만 하루에 잠깐이라도 나를 리셋할 수 있는 평화로운 시간이 좋다.

Tuesday, October 7, 2025

Just Start! Your Pain Isn't About Age, It's About Habit


Let's just dive right in.

A striking 80% of patients who visit clinical settings suffer from pain. These patients often share familiar refrains like, "It just comes with age," "Don't get old," "I woke up this morning and suddenly...," "I just sneezed and...," or "I didn't even do anything..."

However, the truth is that pain is not a matter of age; it stems from poor usage habits and imbalances in our bodies.

Imagine starting your day with this simple routine:

  1. Oil pulling with olive oil for oral and digestive health.

  2. Sipping a glass of warm water with a pinch of mineral salt.

  3. Looking in the mirror to scan your body's balance—checking the alignment of your eyebrows, ears, and shoulder line.

  4. Finally, speaking a single, positive affirmation to set the tone for a good day.

Habits create attitude, and a good attitude reflects a healthy mindset.


그냥 무심코 시작하자.

임상 클리닉에 오는 환자들의 80%가 통증 환자들인데 이분들은 흔히 "나이 들면 그래요," "나이 들지 마세요," "아침에 일어났는데 갑자기...," "재채기를 했는데...," "뭐 한 것도 없는데..." 등의 이야기를 하신다.

하지만 통증은 나이와 상관없이 우리 몸의 잘못된 사용 습관에서 비롯된다.

아침에 일어나서 올리브 오일로 입안과 장을 오일풀링하고, 따뜻한 미네랄 소금을 조금 넣은 물을 한 잔 마신 후 

거울 앞에서 나를 들여다보며 내몸의 발란스를 쭈욱 흝어본다. 눈썹, 귀, 어깨라인.. 그리고는 좋은하루를 예감하는 말을 한마디..

습관은 태도를 만들고 좋은 태도에는 마음가짐이 내비친다.

Saturday, October 4, 2025

Human's unique ability 인간의 특별한 능력


The Unique Ability of Humans

Humans possess a truly remarkable ability among all living creatures — the liver’s power to detoxify and transform.
The human liver can procesfructose — the sugar commonly found in fruits — and store it as fat, turning a simple nutrient into a survival mechanism.

Yet this ability comes with a hidden cost.
During the metabolism of fructose, a substance called uric acid is produced.
When it accumulates excessively, it becomes toxic to the body.
Most animals possess an enzyme to break down uric acid, but humans lost this function during evolution.
Perhaps it is nature’s lesson for us: in exchange for the raw simplicity of survival, we gained the complexity of the human system.

The ancient Greek physician Dr. Aretaeus of Cappadocia described diabetes as “a disease in which the flesh and limbs are dissolved into urine.”

Metabolism is the process by which nutrients are broken down and distributed to every cell in the body.
But when our metabolism loses its harmony, the very system that sustains life — the metabolic syndrome — begins to quietly erode our health.
Excess uric acid burdens the system, inflaming joints, stiffening blood vessels, and clouding the clarity of the mind.
This process unfolds slowly over decades, often spanning 10 to 30 years.

For those with diabetes, it signifies a gradual loss of vitality.
Foods rich in purines, such as beer, cheese, anchovies, and processed meats, further disrupt this delicate balance.
True detoxification is not merely the act of removing toxins.
It is the restoration of the liver’s natural rhythm of transformation — a process that forms a large part of human resilience and health.

Nature always provides what we need.
And it often comes in the humblest form.
Root vegetables, growing quietly beneath the earth, embody the essence of purification and grounding.
They absorb minerals from the soil, filter toxins, and store life energy through the seasons.

A simple detox juice made from radish, burdock root, onion, carrot, and lotus root supports the liver’s natural cleansing process.
These roots work synergistically — improving blood circulation, reducing inflammation, and gently aiding detoxification.
Their earthy and subtle flavors may seem humble, yet their effect is profound: restoring clarity to the body and calmness to the mind.

Healing is not about fighting the body.
It is about listening to it.
Sometimes, all the body asks for is a bowl of roots and water.

Among all foods, vegetables are the only source capable of supplying oxygen to the human body.
Oxygen, in turn, helps release toxins from the tissues.

Here, we introduce five vegetables capable of supporting detoxification and restoring balance in the body.


모든 생명체 가운데, 인간에게는 특별한 능력이 있다. 
그건 간(肝)의 해독과 변환 능력에 관한 것이다.
인간의 간은 과당(Fructose) 특히 과일에 많이 들어있는 설탕류를 
그것을 지방(fat) 형태로 저장하는 능력이 있다.

과당이 대사되는 과정에서 또 요산(Uric acid) 이라는 물질이 생성되는데, 이 물질이 과도하게 쌓이면 몸에 독이 된다.대부분의 동물은 요산을 분해하는 효소를 가지고 있지만, 인간은 진화의 과정에서 그것을 잃었다.어쩌면 그것은 자연이 우리에게 준 교훈일지도 모르겠지만
 단순한 생존의 힘 대신 복잡한 인간의 체계를 얻은 것이다.

고대 그리스의 의사 Dr. Aretaeus of Cappadocia 는 당뇨병을 이렇게 표현했다.
“살과 팔다리가 녹아서 오줌이 되는 병.”

대사는 흡수한 영양물질을 잘게 부수어서 몸의 모든 세포가 유용하게 하는 과정이다 그러나 우리 몸의 대사가 조화를 잃으면, 생명을 유지하던 이 대사과정이라는 시스템(Metsyn; Metabolic syndrom)이 오히려 우리를 서서히 파괴하기 시작한다. 
요산이 몸속에 쌓이면, 조용히 시스템 전체에 부담을 주기 시작한다.관절은 붓고, 혈관은 딱딱해지며, 마음의 맑음까지 흐려진다. 이렇게 서서히 10~30년을 가게된다.

당뇨를 가진 사람에게는, 그것이 생명력의 서서히 풀려나감(쇠퇴)을 의미한다.맥주, 치즈, 멸치, 육류 가공식품처럼 퓨린(Purine) 이 많은 음식은 이 균형을 더욱 무너뜨린다.진정한 해독은 단순히 독소를 배출하는 행위가 아니다.
간이 지닌 ‘변화의 리듬’을 되살리는 일은 인간에게 있어서 건강 회복력의 많은 부분을 차지한다.

 자연은 언제나 우리가 필요한 것을 준다.
그것은 대개 가장 소박한 형태로 다가온다.땅속 깊이 자라는 뿌리채소들은 ‘정화(purification)’와 ‘안정(grounding)’의 본질을 품고 있다.그들은 흙의 미네랄을 흡수하고, 독소를 걸러내며, 계절의 흐름 속에 생명 에너지를 저장한다.무, 우엉, 양파, 당근, 연근 으로 만든 간단한 해독주스는 간의 자연스러운 정화 과정을 도와준다.

이 뿌리채소들은 서로 상승작용을 일으켜, 혈액순환을 돕고, 염증을 줄이며, 부드럽게 해독을 돕는다.그 맛은 투박하고 순하지만, 그 효과는 깊다.몸의 맑음을 되찾고, 마음의 평온을 회복시킨다.치유란 몸과 싸우는 일이 아니다.그저 몸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는 일이다.

인간에게 산소를 공급해줄 수 있는 유일한 음식은 야채다.  산소는 인간의 몸에 있는 독소를 풀어내려주는데 도움을 준다. 

해독을 할 수 있는 다섯가지 야채를 소개한다.


 Five-Root Detox Juice

(Radish, Burdock, Onion, Carrot & Lotus Root)

‘오근(五根)’은 다섯 가지 뿌리채소를 뜻하며,
각각이 혈액 순환을 돕고, 간을 맑히며, 체내 노폐물 배출을 촉진하는 성질을 지닌다.
이 다섯 재료를 함께 달여 마시면
몸의 기운을 맑게 하고 피로를 완화하며,
혈관 건강과 면역력 회복에 도움을 줄 수 있다.

The root vegetables are believed to store the earth’s “Qi.”Combining five roots helps balance the body’s internal energy and promote detoxification through the liver and blood.

재료 (Ingredients)



무 (Radish, Raphanus sativus)

우엉 (Burdock Root, Arctium lappa)

양파 (Onion, Allium cepa)

당근 (Carrot, Daucus carota)

연근 (Lotus Root, Nelumbo nucifera)

+물 (Water)약 600~700 mL


Friday, October 3, 2025

Bowling: An Exercise of Balance and Emotion(볼링, 균형과 감정의 운동)

 

Bowling is a sport filled with emotions—joy, anger, sorrow, and delight.
Some even compare it to life. From the first frame to the final tenth frame, no one can predict the outcome. At first, you might hit strikes and feel like everything is going perfectly, but by the last frame you may find yourself wondering, “How did it end up like this?” On the other hand, you might begin thinking, “Everyone else seems to be doing well except me,”yet finish the game feeling satisfied, “This was good enough—I did well.”

In the end, bowling is about moving not only the weight of the ball, but also the weight of your body and your mind. It is, at its core, an exercise in balance. Each throw requires shifting your body’s center of gravity while guiding the ball’s weight forward. If you cannot make that shift smoothly and carefully, the ball will not go where you want it to.

Interestingly, the ball and the body move in opposite directions, but if either one loses balance, the ball will never reach its target. The bowling ball carries the weight of your mind. The moment you lose focus or lose your center, the ball also loses its path.

That is why bowling is not just a game about scores.
It holds within it emotion, weight, and balance. And perhaps that’s why, each time we bowl, we are not simply rolling a ball down the lane—we are, in a sense, living out life frame by frame.


볼링, 균형과 감정의 운동

볼링은 희로애락이 담긴 감정의 운동이다.
누구는 볼링을 인생에 비유하기도 한다. 첫 프레임에서 마지막 10프레임이 끝날 때까지, 그 결과를 아무도 알 수 없다. 초반에는 스트라이크를 치며 완벽하게 잘 나가는 듯하다가도, 마지막 프레임에 이르면 ‘어쩌다 이렇게 끝나버렸을까’ 싶은 순간이 찾아오기도 한다. 반대로 시작은 서툴고 답답했는데, 마지막에는 ‘그래도 이 정도면 괜찮다, 성공했다’라는 뿌듯함으로 마무리되는 경우도 있다.

볼링은 단순한 공놀이가 아니다.
몸의 무게와 마음의 무게를 함께 옮겨가는 운동이며, 동시에 균형을 잡는 운동이다. 투구 순간에는 몸의 무게중심을 이동하는 동시에 공의 무게를 옮겨야 한다. 중심을 제대로 잡지 못하면 원하는 투구를 할 수 없다.

흥미로운 점은, 볼링공과 내 몸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지만 둘 중 하나라도 균형을 잃으면 목표점에 도달할 수 없다는 것이다. 볼링공은 결국 내 마음의 무게를 담아 이동한다. 내가 중심을 잃고 바라보는 곳을 놓치는 순간, 공 또한 방향을 잃는다.

볼링은 단순히 점수를 내는 게임이 아니다.
그 안에는 나의 감정, 무게, 그리고 균형이 함께 담겨 있다. 그래서 볼링을 할 때마다 우리는 단순히 공을 굴리는 것이 아니라, 내 삶을 한 프레임씩 살아내는지도 모른다.

Thursday, October 2, 2025

My Mantra 1 눈이 뜨일때 하는

 When I wake up in the morning, I say this, it's a kind of mantra.

Words kept only inside cannot be heard.
The voice must come out, resonating from within, so that every cell of my body can listen.
Even if it is a low and quiet sound, I must speak it aloud, so that both my heart and my body may truly hear.

Slow is okay,
detours are okay.

With peace in my heart,
I stay true.

With peace in my heart,
I walk the right path.

With peace in my heart,
I bring good to the world.




아침에 눈뜰때 내뱉는 일종의 만트라다. 속으로 말하는건 들을수가 없다. 신장에서 나와 진동으로 울리는 내목소릴 내야 내 모든 몸의 세포들이 듣는다. 꼭 낮고 작은 소리라도 소리를 내서 말해 내마음과 몸이 듣게한다.


나를 지키며 바른 길 걷게 해주세요, 좀 천천히 가도 돌아가도 

마음이 평안하게 해주세요.

세상에 선한 영향력을 끼치는 도움이 되는 사람이 되게 해주세요.

Wednesday, October 1, 2025

Seasons of Wind 바람따라 흩어지는 기(氣 Qi)

It is the first day of October.

The heat of summer has faded, and the coolness of the morning and evening air hints at the turning of the seasons. Autumn truly feels like a passage between energies, a bridge from summer to winter.

As the weather shifts, I often hear people say:
“I always feel unwell when the seasons change.”
In the past, I would brush it off, thinking, “They must be weak by constitution or simply careless about their lifestyle.”My response was to focus only on supporting the body. But these days, I find myself listening more closely. I’ve grown curious about each person, and I want to understand where their struggles truly lie.

Here in Los Angeles, I’ve noticed a pattern: when seasons change, many people complain of symptoms in the upper part of the body—headaches, dizziness, morning phlegm, or a swollen, heavy sensation in the face.

The Huangdi Neijing (Yellow Emperor’s Inner Classic) says:
“Human beings are born of the qi of heaven and earth, and live according to the laws of the four seasons.”
And the Classic of Difficulties (Nanjing) states:
“What sustains life is qi.”
Qi is the force that keeps us alive and in motion.

Yet there is something that stirs qi and scatters it: the wind. In everyday language, we even say someone has “caught the wind” or has been “carried away by the wind,” as if their energy has been pulled elsewhere. In the ancient text Zangshu (Book of Burial), there is a famous line:
“Qi rides the wind and is scattered.”
For this reason, fengshui teaches that windy places cannot retain qi and are unsuitable for dwelling.

But if we think more deeply, wind is not only a force of dispersal. Just as wind can scatter energy to break unwanted ties, it can also redirect and relocate qi. If qi gathers excessively in the upper body, causing headaches or dizziness, perhaps it is through the same wind that the qi can be dispersed and redistributed throughout the body.

Wind, then, is both scattering and circulation.
When we see the relationship between qi and wind in this way, the changing of seasons no longer feels like mere discomfort, but rather an opportunity—a chance to rebalance and realign body and mind.


 10월의 첫날이다.

여름의 뜨거운 기운이 물러가고 아침저녁으로는 제법 싸늘한 바람이 스며드는 걸 보니, 계절이 여름에서 겨울로 넘어가는 길목에 있음을 실감한다. 가을은 그야말로 기운이 바뀌는 사이에 놓여 있는 계절인 듯하다.

날씨가 변하면서 사람들에게서 자주 듣게 되는 말이 있다.
“계절이 바뀌니까 몸이 힘들어요.”
예전의 나는 이런 말을 들으면 그저 허약한 체질이거나 생활관리를 못해서 그렇다고 단순하게 생각했다. 그리고 몸을 도와주는 방법만 찾으려 했었다. 하지만 요즘은 달라졌다. 사람에 대해 더 궁금해지고, 그 사람이 힘들어하는 지점을 더 세밀하게 듣고 싶어졌다.

여기 엘에이에서는 흥미롭게도 계절이 바뀔 때 주로 머리가 있는 윗부분에 증상을 호소하는 경우가 많다. 두통이나 어지럼증, 아침의 가래, 얼굴이 붓거나 팽창하는 듯한 느낌 등이다.

『황제내경(黃帝內經)』에는 “人以天地之氣生, 四時之法成 — 사람은 천지의 기로 태어나고 사시의 법칙으로 살아간다”라는 말이 나온다. 또한 『난경(難經)』에는 “人之所以生者, 氣也 — 사람이 살아가는 것은 기 때문이다”라고 했다. 기는 사람을 살아 움직이게 하는 근본이다.

그런데 이 기를 움직여 흩어지게 하는 힘이 있으니, 그것이 바로 바람이다. 우리 일상에서도 “바람났다”라는 말을 흔히 쓰는데, 이는 기운이 다른 곳으로 쏠리고 흩어졌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 실제로 풍수지리서인 『장서(葬書)』에는 “氣乘風則散 — 기는 바람을 타면 흩어진다”라는 구절이 있다. 풍수에서는 그래서 바람이 강한 곳은 기가 머물지 못하니 거처로 삼지 않는다.

하지만 한 걸음 더 나아가 생각해보면, 바람은 단순히 흩어버리는 힘만이 아니다. 인연을 끊어내야 할 때 바람으로 기를 흩어내듯, 흩어진 기를 다른 곳으로 옮겨가게 하는 힘도 바람이다. 그렇다면 치료에도 이를 응용할 수 있지 않을까?

바람으로 인해 기가 상부에 몰려 두통이나 어지럼증을 일으킬 수 있지만, 동시에 바람을 통해 그 기를 다시 흩어 전신으로 골고루 퍼지게 할 수도 있다. 바람은 흩어짐이자 순환이다. 기와 바람의 관계를 그렇게 바라볼 때, 우리는 계절의 변화를 단순한 불편함이 아닌, 몸과 마음을 새롭게 조율하는 기회로 삼을 수 있을 것이다.


Tuesday, September 30, 2025

A day

As I open my eyes each morning, the first thought that comes is gratitude. Not long ago, I used to think of life as just the ordinary routine. But I’ve come to realize that what feels like an ordinary day to me now may once have been someone’s dream.

When I first began this journey 25 years ago, I often wondered, Why am I doing this? Deep down, I knew I wanted to bring good energy, a better daily life, and a positive influence to others. Looking back now, it feels almost like waking from a dream—I see that I am living the very life I once hoped for.

And that realization fills me with gratitude. This “ordinary” life is anything but—it is a gift I cherish every day.


눈을뜨면서 감사한다는 생각이 들어오는 아침이다. 

얼마전까지는 그렇고 그런 일상이라고 생각했는데 누군가의 꿈이 이루어지면 일상이된다고 한다. 생각해보니 처음 이 공부를 시작하면서 이걸 왜 시작하는걸까? 라는 생각에서 누군가에게 좋은 기운, 좋은 일상, 영향력을 끼치는 사람이 되어야지 했었는데 꿈에서 깬것처럼 25년이 지난 지금 그 삶을 살고 있는것 같다. 다시 돌아가는 생각은 너무 감사하다. 이렇게 맞이하는 일상이 감사하다.